제 18호 뉴스레터]
[겨울]
[건물 신축 기금]
[경영대 발전기금]
LIFE | 테마기사 : 여성의 커리어와 연세인, 김현수(경영 00)
              - 여성의 꿈을 향해 언제나 자신감을 가지고 '차근차근' 도전하세요.

경영대학 뉴스레터 18호에서는 '여성의 커리어와 연세인'란 주제로 동아일보 기자로 재직하고 있는 김현수 동문(경영 00)을 만나보았다. 김현수 동문은 2004년 동아일보 수습공채로 입사해 경제부와 특집팀을 거쳐 정치부에서 국회와 총리실, 외교부를 출입하였다. 2008년 7월 편집국 통합뉴스센터로 자리를 옮겨 지난해 12월부터 동아일보의 방송 뉴스 프로그램인 '동아 뉴스 스테이션'의 앵커를 맡고 있습니다. 김 동문은 "저의 짧은 글이 후배 여러분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그녀의 소중한 충고를 들어보자.

세상은 빠르게 변한다. 요즘은 여자가 '일을 하느냐, 집에 남느냐' 같은 갈등은 행복한 고민으로 친다. 일을 하지 않아도 되는, 그런 '선택'이 가능한 여자들이 부러움을 받는다. 그렇다고 우리의 일터가 여성 프렌들리로 변한 것도 아니다. 세상은 여자들을 '내 집 마련 대출 자금'이라도 벌어오라며 일터로 내몰지만, 여전히 가정을 잘 꾸리길 원한다. 목숨 걸고 경쟁에서 이긴 여자들은 '골드미스'라며 교묘히 조롱한다. 이러니 여자들은 잘 나가도 불안하고, 지친다. 언제나 스스로에게 묻게 된다. '나 잘 하고 있는 건가" 나도 직장생활 만 5년이 훌쩍 넘었지만, 여전히 이런 질문을 수도 없이 던진다. 사회와 회사가 만든 유리천장, 그리고 내가 지레 겁먹고 만들어 놓은 유리벽 때문에 어디로 돌진 해야 할 지 헷갈릴 때도 많다. 따라서 후배 여러분께 '성공적인 커리어 우먼이 되려면' 같은 얘길 하는 것은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다. 나도 좀 누가 개인지도 해줬으면 좋겠다. 다만 직업이 기자이기에 성공적이라 평가되는 삶을 산 사람들의 얘기는 전할 수 있다. 후배들을 위해 최근 인터뷰하며 마음에 남았던 얘기들을 모아봤다.


》 여자라서?…세상은 변한다
여자들이 혼란스러워 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가까운 역할 모델의 수가 적다는 것이다. 일부 성공한 여자 선배들은 신문이나 책에서나 만날 수 있을 뿐이다. 자신이 진정 유리천장을 뚫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믿음이 적기에 회사에 '목숨 내놓고' 충성하기 어려울 때도 많다. 하지만 세상은 정말 빨리 변한다. 최선을 다하면 어느새 중요한 자리에 필요한 사람이 돼 있기도 한다. 국내 첫 여성 대사로 주 핀란드, 주 러시아 대사를 지낸 이인호(73) 카이스트 석좌교수에게 후배 여성들에게 하고 싶은 조언을 부탁했다.

"옛날에 비하면 차별이 많이 줄어들었고, 눈에 드러나는 차별은 없어요. 아직 보이지 않는 차별이랄까 불이익이랄까 한 건 많죠. 그러니까 모든 게 공개적으로 투명하게 이뤄지는 사회일수록 여성이 진출하기가 쉽고, 불투명한 구석이 많은 나라일수록 여성에게 불리합니다. 아직도 우리나라는 후자에 속하거든요, 정말 중요한 거래 같은 거는 공적인 통로를 통해서가 아니라 술자리라든가 이런 걸 통해서 되고, 서로 남자들끼리 골프 치다가 네트워킹으로 되고 그런 비율이 높으니까. 그런 점에서 불리한 점이 있지만 지금은 여성들도 능력만 있으면 평가를 제대로 받는 세상이 돼 있어서, 내가 여성이니까 어떨까 하지 말고, 뭔가 맡은 일을 열심히 하면 기회가 항상 온다고 생각해요. 나 같은 경우도 대사가 된다든가 그런 걸 목표로 공부해 본적은 없는데, 그런 기회가 왔을 때 준비가 돼 있으니까, 기회를 잡을 수 있었던 거죠."


》 모르면 묻자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일반적으로 '모범생' 기질이 더 강한 듯 하다. 나도 그렇다. 모르면 물어야 하고, 틀려도 제안해야 하는데 지적당할까 두렵다. 혼이라도 나면 금세 주눅도 든다. 얼마 전 한나라당 최장수 대변인 기록을 세운 조윤선(43) 대변인을 인터뷰했다. 김&장 법률사무소 첫 여성 변호사, 한국시티은행 부행장 겸 법무본부장. 거기에 미모와 화사한 성격까지. 그런 조 대변인도 기죽고, 자신감을 잃을 때가 있는지 물었다.

"슬럼프에 빠질 때나 자신감을 잃을 때 전 자꾸 최면을 걸어요. '네가 제일 잘하고 있다. 네가 이정도 하고 있으면 이 일은 정말 어려운 거야' 이런 생각을 저 자신에게 해요. 안 그러면 너무너무 기가 죽어서, 주눅 들고 그래가지고 살기가 어렵거든요. 저는 변호사 생활 하면서 그런 걸 많이 느꼈어요" (기가 죽을 일이 뭐가 있으신데요?) 너무 똑똑한 사람이 많은 거예요 주변에는. 똑똑하고 체력도 좋고, 결단력, 판단력, 이런 게 뛰어난 분들과 일하다 보니 노상 주눅 들어서 자신감도 잃고. 내가 이런 걸 말하는 건 좀 바보 같은 거 아닐까. 이런 걸 모른다고 하면 정말 바보로 생각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 많이 했거든요. 그렇게 생각하니까 한이 없더라고요. 너무 위축돼서 그러지 말고, 모르는 건 모른다고 하고 자꾸 가르쳐달라고 해야 해요. 모르는 걸 모른다고 말할 수 있는 시기가 있거든요. 그 시기를 놓치면 진짜 모른다고 못하기 때문에 아 이거는 초반에 내가 모르는 건 모른다고 해버리자. 그리고 빨리 배우자. 이렇게 생각을 하는 편이었어요. 이거는 아주 효과가 있거든요."


》 제발 '차근차근'
언제나 꿈을 꾸는 건 중요하지만, 간혹 꿈과 환타지를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자기는 인재니까 사회에서 대접받고, 멋진 정장을 입다가 갑자기 정상에 오를 거라 믿는 사람들. 학교 강의실에선 경영자로 혁신을 논했지만, 막상 사회에 나오면 생각했던 그 일이 아닐 때가 많다. 잠재적 글로벌 리더인 내가 뭘 하는지 모르겠다고 투덜댄다. 우리는 당장의 결과물에 대한 조바심, 상상과 현실의 괴리에서 오는 불안 때문에 금세 지치고, 중요한 과정을 놓치곤 한다.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캣츠', '에비타', '샤우팅' 등을 제작한 한국 뮤지컬 계의 리더, 설도윤(50) 설앤컴퍼니 대표. 설 대표는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는 것'의 미덕을 설파한다.

"원래 저는 꿈이 없었어요. 다만 주어진 여건에서 최선을 다 했어요. (대학 졸업 후) 배우가 되려고 뮤지컬 극단을 들어갔어요. 현대극장을. 저는 노래를 전공했기에 노래는 자신 있었고, 연극반을 했었으니까 연기도 어느 정도 자신이 있었는데. 춤이 하나도 안 되는 거예요. 잘 하고 싶어서 이화여대 육완순 교수님을 찾아갔어요. 사실 제가 발레를 시작하긴 너무 늦은 나이였거든요. 군대까지 제대하고 발레를 한다는 게 사실 좀 어렵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초를 발레로 하고, 현대무용 하고, 한국무용까지. 그래서 한 5년 간 몇 시간 못자고 계속 뛰었더니 어느 날 안무가가 돼 있더라고요. 굉장히 어려운 일도 많았고, 힘든 일도 많았지만 결국은 제가 연기를 하다 보니까 춤이 모자라고, 춤을 열심히 하다 보니까 안무가가 되고, 안무를 하다 보니까 기획을 하게 되고, 또 제작 감독도 하고, 그러다 보니까 프로듀서가 됐어요. 산의 정상만 보고 오르다 보면 금세 지쳐버려요. 하지만 저처럼 돌부리 하나 치우고, 또 올라가다가 움막도 짓고. 그렇게 스텝 바이 스텝으로 가다 보니까 어느 날 높은 산에 올라와 있더라고요. '정말 당신이 목표로 하는 산에 오르고 싶다면, 정상을 바라보고 가지 말고 오히려 발밑을 보고 가라', 저는 그렇게 얘기 하고 싶어요."
다음
[Address : 120-74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134  연락처 : 02-2123-5452~5]